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이너리그리포트 25_ 사랑

by 꼰대가랬숑 2024. 7. 5.
반응형

 

사랑이란

 

늘 사랑한다는 말과 함께 살아가던 시절이 있었다. 가족에게도, 연인에게도, 친구에게도 장난 삼아서 혹은 진심을 담아서 지금은 사랑한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공허함을 느낀다. 듣는 내가 아니라 말하고 있는 상대에게서...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이란 것도 세대를 거듭하며 진화하고, 변화한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삼대만 생각해 봐도 만나고, 이루어지고,  사랑하는 방식이 전혀 다르다는걸 알 수 있다.

굳이 사랑이라는 작용을 과학적 측면으로 나누어 말하자면, 생리학적, 신경과학적, 사회적, 진화적 관점에서 얘기할 수 있을것 같다. 

 

생리학적 관점의 사랑은 호르몬과 생리적 반응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 같은 호르몬들은 욕구와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뇌 내 화학 물질인 도파민은 보상  쳬계와 관련되어 사랑의 경험을 강화할 수 있다.

신경과학적 관점의 사랑은 사랑을 경험할 때 뇌의 특정 영역, 특히 삼히포캄푸스와 오직 두 센터 등의 부위들이 활성화된다고 한다.

사회적 관점의 사랑은 사회적 환경과 개인적인 심리적 요소들에 크게 의존하게 되는데, 상호 존중, 신뢰, 유대감과 같은 요소들이 사랑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진화적 관점의 사랑은 진화적으로 유리한 특성으로 남아 있는 이유에 대한 것으로, 출산과 육아에 유리한 동반자를 선택하도록 유도하거나,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는 등의 기능을 말한다.

 

 

마이너리거의 사랑은 도피일 뿐이다.

당신이 힘들 때, 여유롭지 못한 상태에서의 사랑은 어디에 속하는가? 사람은 위기에 처했을 때 생존의 욕구와 사회적 욕구가 앞서는것 같다. 현실을 회피하기 위해 많은 도파민(생리학적)이 필요하고, 상황을 개선하고 안정을 찾아 생존(진화적) 하기 위해최선의 방법을 강구하게 되고,  상황이 복잡하고 힘들어 질수록 본능적으로 이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게 되며, 술, 이성과의 교재, 도박 등의 끝없는 자극을 통해 현실에서의 스트레스 상황을 어떻게든 빠져나가려고 본능적으로 행동하게 된다.  물론, 의도적으로 접근해서 이용하거나 하진 않겠지만 그렇다고 부러 차단하거나 회피하진 않는다.

 

한편으로는 필요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잘 생각해 보면 당신이 여유롭지 못한 상황에 처했을 때 이성과의 교제를 위해 투입되어야 하는 비용들을 지불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힘들고, 지쳐 누군가 기대어 한탄하며 후회되는 많은 말들을 하고 싶을 것이다. 다만 이성에게 하는 이런 행동은 장담하지만 분명 후회만을 남기게 될 것이다. 경험에 의한 것이니 믿어도 좋을 것이다. 힘듦을 토로하고 후회되는 것들을 말하고 눈물 흘리며 힘이되고 동정해 주길 바랐다. 뒤의 얘기지만 소개자에게 그랬다더라 너무 초라해 보이고 울먹거려서 싫었다고... 물론, 이해도 된다. 그도 얼마나 짜증나고 힘들었을지.... 요는 그렇다. 내가 지금 견디기 힘든 상황이라면 이성교제보다는지금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에 모든 신경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이너리그의 마이너리거거의  사랑이 위험한 이유

마이너리그의 마이너리거가 되었을 때 사랑이 위험한 이유는 단 하나다. 진짜 사랑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랑은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는건  이성에 눈뜰 때 쯤 누구나 알게 되는 팩트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마이너리거의 사랑은 일방적이고, 힘겹고, 굴욕적이다. 

감정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자유롭지 못한 사랑은 제한적이고 즉흥적일 수밖에 없다. 누굴 탓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감정으로 잘 포장하여 이용하게 되는 진화적/생리학적 측면(생존)에서의 생리적 작용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미 파괴된 당신의 환경은 그런 짧은 도피로는 개선할 수 없다. 더해서 정말 위험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이성에게 너무 집착한 나머지 해선 안될 행동을 하게 된다거나, 헤어짐의 상처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거나 이미 파괴된 이성이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데 장애가 될 것임은 너무나 자명하다.

 

당신이 마이너리거가 되었다면, 지금 이 순간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알 것이다.

힘들 것이다. 배도 고프고, 배신감도 느끼고, 자존감에 상처도 받을 것이다. 그럼에도 내려놓고 버텨내야 한다. 단, 스스로 버텨내야 한다. 

 

 

스스로 그렇게 버텨내어 내면, 역설적이게도 이것이 다시 일어서는 힘이 되어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