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트레스3

사람은 입장을 바꿔 생각할 수 없다 모든 성인들은 자신이 바른 선택을 할 능력이 있다고 믿는다. 사회화의 과정을 거치며 형성된 학습화에 따라 사회 관계망에 적합한 수준의 인격과 소양을 형성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과연 그럴까?   인간은 건전한 선택을 할 능력이 없다우리가 누군가를 칭찬하거나 관심을 보일 때 종종 사람의 됨됨이에 대해 얘기하곤 한다. 됨됨이는 무엇일까? 우선 사전적인 의미로 됨됨이는 '사람의 품격이나 인격'을 의미한다. 사람은 태어나 오랜 시간 사회화 과정을 거친다. 단체 생활을 통해 생존을 위한 유대를 배우고 그것에 필요한 인격과 품성을 갖춘다. 사회가 요구하는 적절한 수준의 인간으로 거듭나는 과정이다. 나를 포함해 대체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까? 그러나 이런 생각은 보기 좋게 틀렸다. 사회화 과정에서 모든 성인은 실수.. 2025. 4. 1.
항상 시간이 부족한 이유 시간이 부족하다고 반드시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은 아니지만 둘 사이에 연관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를테면 사람들은 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일까?  항상 시간이 부족한 이유, 스트레스가 시간 부족을 느끼게 한다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은 주의력 장애를 가진 사람처럼 산만하게 행동한다. 스트레스는 집중력 부족에 이어 우리의 시간을 빼앗는 주요한 요인이기도 하다. 스트레스는 시간을 의미 있게 배분하여 사용하는 일을 어렵게 만든다. 사람의 뇌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은 전두엽 대뇌피질인데,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키는 동안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이 너무 많이 분비되면 전두엽의 대뇌 피질이 가장 먼저 그 영향을 받는다. 심한 경우 전두엽 전 영역이 완전히 기능을 멈출 수도 있고, 그렇게 되면.. 2024. 7. 29.
화(火)가 넘치는 사회, 한국 최근 들어 유독 트러블이 많이 발생하는 이상 사회 현상들을 목격하게 된다. 각종 자극적인 영상들의 광범위한 노출로 더 두드러지는 것도 사실이지만 크고, 작은 트러블이 사회 곳곳에 만연해있다. 배달부터 기업까지 모든 것이 경쟁인 한국은 이대로 괜찮은 것일까?  화(火)가 넘치는 사회, 한국 최근 유튜브, 숏폼 영상들을 보다 보면 한국이 정말 사람이 살아갈 수 있는 나라가 맞긴 한가? 의문이 들곤 한다. 비근하게는 주차 시비부터 교통사고, 묻지 마 칼부림까지 문제도 많고 탈도 많아 보인다. 과연 이런 문제가 최근에 더 기승부리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2024년 3월로 기억 한다. 미국 유명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144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마크 맨슨'이라는 사람이 한국을 '세상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라고.. 2024.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