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공5

적극성, 마이너리그 탈출의 열쇠 _ 마이너리그 리포트 30 실패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보이는 것들이 있다. 매사에 불만이 많고, 부정적이며, 매우 소극적이다. 능동적으로 모습보다는 수동적인 태도로 일관한다. 당신의 이야기다. 당신이 가장 빠릿하게 움직이는 시간은 점심시간과 저녁시간일 것이다.  적극성, 마이너리그 탈출의 열쇠나는 당신은 이 사회가 바라는 인재상을 알고 있다. 정확하진 않아도 대략 어떤 사람이 유능한, 필요한 사람인지, 선호되는 인재 인지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이런 부류의 사람들은 매사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다.어떤 미션이 주어지든 거절하는 법이 없고, 당연히 불만보다는 발전할 수 있는 부분을 발견해 내려고 노력하며,노력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뛰어든다.반면에 당신은 어떤가?어떤 일이 주어지면 일단 귀찮고,.. 2024. 7. 12.
마이너리그, 마이너리거 _ 마이너리그 리포트 28 패배자, 즉 자신과의 싸움에서 자주 지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은 폐쇄적인 경우가 많다. 지루하고, 고루하며, 고집스럽다.  마이너리그, 마이너리거이 블로그의 리포트 콘셉트 마이너리그는 야구의 마이너리그에서 착안하게 되었다.야구에서 마이너리그가 도입된건 1920년 초반, 세인트루이스구단의 프런트를 맡고 있던 '흥행의 귀재' 브랜치 리키(branch rickey)는 '우수자원 수급'의 어려움을 조금이나 해소해 줄 만한 방안을 연구하였고, 유망한 아마추어들을 놓고 구단 간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것이 너무 소모적이라고 판단, 그래서 아예 구단에 선수 양성 시스템을 두고 메이저리그 구단에 선수들을 수급하자는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 리키가 시작한 마이너리그 시스템의 개념은 금세 타구단으로 퍼져나가 결국 현재 메이저리.. 2024. 7. 10.
마이너리그 리포트 15편 마이너리거 마인드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는 너무나 극명하다. 일을 마주하는 순간부터 프로는 일의 단서를 찾고, 아마추어는 힘든 일인지 그렇지 않은지를 본다. 애초에 하고 싶은 마음이 없는 것이다. 문제는 하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이미 지배하기 때문에 일을 진행하는 동안에도 영향을 미친다. 패자 마인드다.  마이너리그 리포트 15편 마이너리거 마인드망해가는 회사에는 아마추어가 많다너무나 당연하게도 그저 그런 회사에는 아마추어들이 많다. 일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많은 불만이 쌓여 있다. 애초에 할 생각도 하고 싶은 의욕도 없다. 지금 당장하고 있는 일이 갑자기 너무 많아 보인다. 자신의 미래나 회사의 미래 따위는 당장 생각 하지 않는다. 그저 당장 내가 해야 하는 일의 분량에 민감할 뿐이다. 더해서, 일의 수주나 승. 패에도.. 2023. 3. 16.
마이너리그 리포트 12편 회사가 망하는 순간 사업초기 열정과 의지와는 상관없이 모든 사업은 한 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 주식 투자에도 최저점이라고 생각한 시점에 더 최저로 떨어 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임하라는 투자 고수들의 투자 원칙이 있듯이 사업도 언젠가는 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 하고 있어야 한다.  마이너리그 리포트 12편 회사가 망해가는 순간누구도 회사가 망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창업하는 경우는 없다. 나도 그랬고, 열정 가득 했지만 결국은 망했다. 시원하게.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망해가는 과정에 나는 어느정도 인지 하고 있었던것 같다. "아 이렇게 하다간 망하겠다" 하고 과정을 생각해보면 이렇다. 불안한 현실을 인지하고 있지만 나는 향락에 빠져 도피를 선택했다. 없는 일정을 만들어 골프를 가고, 영업을 핑계로 술자리를 만들고, .. 2023. 3. 8.
마이너리그 리포트 10편 거만함 사업이 잘 되가는 시점이 있다. 생각지도 못한 프로젝트가 생기고,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이 몰아 치는... 소개에 소개로 이어지며 매출이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한다. 대부분 이때부터 자기애에 빠져 허우적 대기 시작한다.   마이너리그 리포트 10편 거만함 겉 멋을 부리게 되는 이유광고대행사 시절을 먼저 복기해 보자. 대략 하루 24시간 중 출.퇴근 시간 포함 집에서 보내는 시간은 4~5시간 정도다.이것도 최선을 다해 성실하게 퇴근 할 경우이고, 처참한 몰골로 아침을 맞는 경우가 허다하다. 왜? 절대 시간이 부족하니까.이름 대면 알만한 브랜드의 기업들은 마케팅 비용을 꽤 많이 쓴다.(삼성은 제외다) 내가 담당하던 기업의 경우 1년 예산은 20억에서 100억까지 였다. 주로 TVCM 위주의 캠페인 였고, 지금.. 2023. 3. 7.
반응형